기업개요
AfreecaTV은 1인 미디어 플랫폼으로, 기부경제선물 문화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그들의 매출은 기부경제선물과 광고로 나누어집니다. 광고매출은 플랫폼 내 광고상품을 판매하는 '플랫폼 광고'와 라이브방송 및 영상제작과 같은 '콘텐츠형 광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요 사업은 'AfreecaTV'로 국내외 시장을 공략하면서, 광고와 라이브 커머스와 같은 신사업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신 뉴스
"트위치의 국내 철수 후, 아프리카 TV가 네이버 치지직을 앞서는 모습을 보이며 대형 스트리머 영입으로 이용자 유입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트위치가 국내에서 철수를 예고한 후, 아프리카TV가 네이버 치지직을 앞서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모바일 빅데이터인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치지직의 일간 활성 사용자수(DAU)는 아프리카 TV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치지직의 DAU는 30만 명대인 반면, 아프리카 TV는 70만 명을 웃돌기도 했습니다. 이는 모바일 이용자를 집계한 수치로, 아프리카 TV가 이용자 유입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습니다.
아프리카 TV가 우세한 이유 중 하나는 대형 스트리머의 영입으로, 스트리머에 대한 이용자의 충성도가 높아 스트리머가 플랫폼을 옮길 경우 함께 이동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입니다. 아프리카 TV는 특히 스트리머 우왁굳과 이 세계 아이돌(이세돌) 등 대형 스트리머들을 영입하면서 이용자들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대형 스트리머의 이적은 아프리카TV의 사업 전망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적 소식이 나오자 주가가 상승하였으며, 시청자의 충성도가 높은 인터넷 방송 분야에서는 스트리머의 이동이 플랫폼 간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다고 언급되었습니다.
하지만 치지직도 게임 스트리머 풍월량 등을 영입하며 대응하고 있으며, 일부 대형 스트리머가 아직 이적 플랫폼을 확정하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최종 평가는 변동할 수 있다는 점을 업계에서는 감안하고 있습니다.
아프리카TV는아프리카 TV는 해외 시장으로의 확장도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으며, 글로벌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 '숲(SOOP)'을 론칭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해외 시장을 공략할 계획입니다. 아프리카 TV는 다음 달에 지난해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며, 트위치의 철수로 인한 이용자 수 유입 등에 대한 자체 집계 수치를 발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재무제표
1. 매출액:
- 2020년: 1,966억원
- 2021년: 2,723억원
- 2022년: 3,150억원
- 2023년 (예상): 3,425억원
매출액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2. 영업이익:
- 2020년: 504억원
- 2021년: 888억원
- 2022년: 824억원
- 2023년 (예상): 874억 원
영업이익도 증가 추세입니다.
3. 당기순이익:
- 2020년: 363억원
- 2021년: 709억원
- 2022년: 595억원
- 2023년 (예상): 762억 원
당기순이익은 2021년에 크게 증가했고, 2022년과 2023년에도 성장하는 보습을 보입니다.
4. 자산총계와 부채총계:
- 자산총계는 꾸준히 상승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6,034억 원으로 예상됩니다.
- 부채총계도 증가하고 있지만, 자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입니다.
5. 영업활동현금흐름:
- 2020년: 723억원
- 2021년: 1,335억원
- 2022년: 1,009억원
- 2023년 (예상): 1,041억원
영업활동현금흐름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적절한 현금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6. 부채비율:
- 2020년: 97.91%
- 2021년: 94.89%
- 2022년: 92.86%
- 2023년 (예상): 98.51%
부채비율은 감소 추세였으나, 2023년에 다시 상승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7. EPS (주당순이익):
- 2020년: 3,184원
- 2021년: 6,179원
- 2022년: 5,197원
- 2023년 (예상): 6,635원
주당순이익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23년에도 성장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8. PER (주가수익비율):
- 2020년: 19.00배
- 2021년: 32.81배
- 2022년: 13.68배
- 2023년 (예상): 15.70배
PER은 2022년에 낮아지고, 2023년에는 다시 상승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9. PBR (주가순자산비율):
- 2020년: 4.49배
- 2021년: 10.68배
- 2022년: 3.22배
- 2023년 (예상): 3.70배
PBR도 2022년에 낮아지고, 2023년에는 다시 상승하는 모습으로 보입니다.
10. 현금배당성향:
- 2020년: 19.31%
- 2021년: 11.33%
- 2022년: 13.33%
- 2023년 (예상): 11.51%
현금배당성향은 적당한 범위에서 변동하고 있습니다.
11. 발행주식수:
- 발행주식수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습니다.
종합 평가
종합적으로, AfreecaTV는 성장과 안정성을 고려해야 하는 기업으로, 성장세와 안정성을 유지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경쟁하고 있으며, 신사업 확장과 광고 수익을 높이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디지털 미디어 시장의 성장과 관련이 있으므로, 산업 동향을 주의 깊게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차트(일봉)
차트의 흐름만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분석 요소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이동 평균 돌파: 단기 이동 평균이 장기 이동 평균을 상향 돌파하는 지점이 관찰됩니다. 이는 상승 추세로의 전환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2. 추세 전환: 차트에 표시된 이동 평균선의 방향 전환을 통해 가격이 하락 추세에서 상승 추세로 전환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3. 지지와 저항: 지지와 저항 수준을 나타내는 수평선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가격은 이러한 수준을 여러 번 테스트하며, 지지선에서 반등하고 저항선에서 후퇴한 후 마침내 돌파했습니다.
4. 볼륨 스파이크: 가격과 거래량 모두에서 중요한 급등을 보여 높은 변동성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급등의 맥락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특정 뉴스 이벤트나 실적 보고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석은 투자 결정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지만, 시장의 불확실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항상 여러 데이터 소스와 분석 방법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성공 >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조언] 빅텍 투자정보 - 투자지침서 (0) | 2024.01.17 |
---|---|
[투자조언] 대한해운 투자정보 - 투자지침서 (0) | 2024.01.17 |
[투자조언] 아시아 데이터센터로 몰리는 글로벌 투자자들의 눈길, AI 인프라에 집중 - AI관련 (0) | 2024.01.15 |
[투자조언] EU, 통합 대한항공 합병 승인 - 항공관련주 (0) | 2024.01.15 |
[주식투자] 흥아해운 투자정보 - 투자참고서 (0) | 2024.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