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CodingTest

[백준] 1780번 - 종이의 개수 - 이해까지 도와주는 풀이

by on_master 2024. 1. 27.

문제

 

N×N크기의 행렬로 표현되는 종이가 있다. 종이의 각 칸에는 -1, 0, 1 중 하나가 저장되어 있다. 우리는 이 행렬을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자르려고 한다.

  1. 만약 종이가 모두 같은 수로 되어 있다면 이 종이를 그대로 사용한다.
  2. (1)이 아닌 경우에는 종이를 같은 크기의 종이 9개로 자르고, 각각의 잘린 종이에 대해서 (1)의 과정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종이를 잘랐을 때, -1로만 채워진 종이의 개수, 0으로만 채워진 종이의 개수, 1로만 채워진 종이의 개수를 구해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1 ≤ N ≤ 37, N은 3k 꼴)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N개의 정수로 행렬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1로만 채워진 종이의 개수를, 둘째 줄에 0으로만 채워진 종이의 개수를, 셋째 줄에 1로만 채워진 종이의 개수를 출력한다.

 

예시 입력

9
0 0 0 1 1 1 -1 -1 -1
0 0 0 1 1 1 -1 -1 -1
0 0 0 1 1 1 -1 -1 -1
1 1 1 0 0 0 0 0 0
1 1 1 0 0 0 0 0 0
1 1 1 0 0 0 0 0 0
0 1 -1 0 1 -1 0 1 -1
0 -1 1 0 1 -1 0 1 -1
0 1 -1 1 0 -1 0 1 -1
 
 

예시 출력

10
12
11

 

 

풀이

 

이번 문제는 저번 색종이 자르기 문제랑 유사한 문제입니다.

조건만 달라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1, 0, 1을 똑같이 색깔로 본다면 구별 하는 것을 이번에도 이중반복문을 사용해서 같은 숫자끼리 모아서 

종이를 자를 수 있습니다.

 

같은 숫자이면 각각 one, zero, minus에 개수를 세어줍니다.

 

문제에서 다른 숫자이면 종이를 같은 크기의 종이 9개로 자르고, 각각의 잘린 종이에 대해서 앞의 과정을 반복하라고 했습니다.

 

new_n = n // 3 으로 한면을 3등분하여 9개의 종이로 나눠줍니다.


for i in range(3)for j in range(3)은 3x3 그리드를 나타냅니다.

 

이것은 큰 종이를 9개의 작은 종이로 나누기 위한 반복문입니다.

 

 

cut_paper(x + i * new_n, y + j * new_n, new_n)은 재귀 호출을 통해 현재 큰 종이를 작은 종이로 나누는 과정을 수행합니다. `x`와 y는 현재 큰 종이의 시작 위치를 나타내고, new_n은 작은 종이의 한 변의 길이입니다.

 

x + i * new_n은 현재 큰 종이의 행 위치(x)에서 i를 사용하여 작은 종이의 위치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이렇게 함으로써 3x3 그리드에서 각 작은 종이의 위치가 올바르게 결정되며, 재귀 호출을 통해 작은 종이를 더 작게 분할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소스 코드

 

# 입력으로 정수 N을 받습니다.
n = int(input())

# N x N 크기의 행렬을 저장할 2차원 리스트 graph를 초기화합니다.
graph = []
for _ in range(n):
    graph.append(list(map(int, input().split())))

# -1, 0, 1로 채워진 종이의 개수를 저장할 변수들을 초기화합니다.
one, zero, minus = 0, 0, 0

# 종이를 잘라내는 재귀 함수 cut_paper를 정의합니다.
def cut_paper(x, y, n):
    global one, zero, minus

    # 현재 영역의 색상을 가져옵니다.
    color = graph[x][y]

    # 현재 영역이 모두 같은 색인지 여부를 확인할 변수 same_color를 초기화합니다.
    same_color = True

    # 현재 영역을 검사하여 모든 칸이 같은 색인지 확인합니다.
    for i in range(x, x + n):
        for j in range(y, y + n):
            if graph[i][j] != color:
                same_color = False
                break

    # 같은 색이면 해당 색에 따라 개수를 증가시킵니다.
    if same_color:
        if color == 1:
            one += 1
        elif color == 0:
            zero += 1
        else:
            minus += 1
    else:
        # 현재 영역을 9개의 작은 종이로 나누기 위한 크기를 계산합니다.
        new_n = n // 3
        # 3x3 그리드를 순회하면서 작은 종이로 나누기 위한 재귀 호출을 수행합니다.
        for i in range(3):
            for j in range(3):
                cut_paper(x + i * new_n, y + j * new_n, new_n)

# 잘라내기 시작 위치와 크기를 지정하여 재귀 함수를 호출합니다.
cut_paper(0, 0, n)

# -1, 0, 1로만 채워진 종이의 개수를 출력합니다.
print(minus)
print(zero)
print(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