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이
크기가 N인 수열 A = A1, A2, ..., AN이 있다. 수열의 각 원소 Ai에 대해서 오등큰수 NGF(i)를 구하려고 한다.
Ai가 수열 A에서 등장한 횟수를 F(Ai)라고 했을 때, Ai의 오등큰수는 오른쪽에 있으면서 수열 A에서 등장한 횟수가 F(Ai)보다 큰 수 중에서 가장 왼쪽에 있는 수를 의미한다. 그러한 수가 없는 경우에 오등큰수는 -1이다.
예를 들어, A = [1, 1, 2, 3, 4, 2, 1]인 경우 F(1) = 3, F(2) = 2, F(3) = 1, F(4) = 1이다. A1의 오른쪽에 있으면서 등장한 횟수가 3보다 큰 수는 없기 때문에, NGF(1) = -1이다. A3의 경우에는 A7이 오른쪽에 있으면서 F(A3=2) < F(A7=1) 이기 때문에, NGF(3) = 1이다. NGF(4) = 2, NGF(5) = 2, NGF(6) = 1 이다.
입력
첫째 줄에 수열 A의 크기 N (1 ≤ N ≤ 1,000,000)이 주어진다. 둘째에 수열 A의 원소 A1, A2, ..., AN (1 ≤ Ai ≤ 1,000,000)이 주어진다.
출력
총 N개의 수 NGF(1), NGF(2), ..., NGF(N)을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한다.
예제 입력
7
1 1 2 3 4 2 1
예제 출력
-1 -1 1 2 2 1 -1
풀이
dict을 활용한 개수 세기
import sys
# 입력 받기
N = int(input())
A = list(map(int, input().split()))
# 각 숫자의 등장 횟수를 카운트하는 딕셔너리 생성
count = {}
for num in A:
if num in count:
count[num] += 1
else:
count[num] = 1
# 결과를 저장할 리스트 생성 및 초기화
result = [-1] * N
# 스택을 이용하여 오등큰수를 구함
stack = []
for i in range(N):
while stack and count[A[i]] > count[A[stack[-1]]]:
result[stack.pop()] = A[i]
stack.append(i)
# 결과 출력
print(" ".join(map(str, result)))
Counter 라이브러리 사용
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
N = int(input())
D = list(map(int, input().split()))
def count_elements(arr):
counts = Counter(arr)
return counts
result = [-1] * N
A = count_elements(D)
stack = []
for i in range(N):
while stack and A[D[stack[-1]]] < A[D[i]]:
result[stack.pop()] = D[i]
stack.append(i)
print(*result)
'개발 > CodingTe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_그래프] 24479번 - 알고리즘 수업 - 깊이 우선 탐색 1 (0) | 2024.01.31 |
---|---|
[백준_스택2] 1725번 - 히스토그램 (1) | 2024.01.31 |
[백준_스택2] 17298번 - 오큰수 (1) | 2024.01.30 |
[백준_스택2] 9935번 - 문자열 폭발 (1) | 2024.01.30 |
[백준_우선순위큐] 11286번 - 절댓값 힙 (1) | 2024.01.30 |